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삼성증권]주식 거래 수수료, 예탁금 이용료 예시 총정리!

by 퀀트H 2025. 5.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 H입니다!

 

요즘 주식 투자, 정말 핫하죠?
저도 처음엔 MTS로 간단히 매수하고 ‘내가 드디어 주식 부자 되나 보다!’ 했는데, 수익률이 이상하게 낮더라고요. 알고 보니 수수료와 예탁금 이용료, 유관기관 비용이 만만치 않았더군요.

 

오늘은 여러분이 수익률 계산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수수료 구조와 예탁금 이용료, 그리고 다양한 매체(HTS/MTS/ARS/오프라인)별 차이에 대해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투자 전 꼭 체크하세요!

 

 

 

글 순서

1. 거래 채널별 수수료

2. 예탁금 이용료

3. 특수 수수료

4. 마치며 

 

거래 채널별 수수료

1. 거래 채널별 수수료 – 어떤 경로로 주문하느냐가 수익률을 바꾼다!

주식 매수/매도 시 어떤 채널(HTS, MTS, ARS, 오프라인)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수수료율이 달라집니다.

✅ 온라인 거래 수수료 (HTS/MTS/POP.com)

거래금액수수료율
1천만 원 미만 0.147216% + 1,500원
1천만 ~ 5천만 원 미만 0.127216% + 3,000원
5천만 ~ 1억 원 미만 0.117216%
1억 ~ 3억 원 미만 0.097216%
3억 원 이상 0.077216%
최저수수료 (50만 원 미만) 0.497216%
 

📌 예시1 – 500만 원어치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 500만 × 0.147216% = 7,360원 + 1,500원 = 총 수수료 약 8,860원

📌 예시2 – 1억 5천만 원 매매 시
→ 1억 5천만 × 0.097216% = 145,824원

수수료가 거래 규모에 따라 확실히 차이가 나죠? 고액일수록 퍼센트 수수료만 적용되는 구간이 유리해집니다.

 

✅ ARS 거래 수수료

거래금액수수료율
1천만 원 이하 0.247216%
1천만 ~ 5천만 원 이하 0.227216% + 2,000원
5천만 원 초과 0.197216% + 17,000원
 

📌 예시3 – ARS로 2천만 원 거래 시
→ 2천만 × 0.227216% = 45,443원 + 2,000원 = 총 약 47,443원

ARS는 전화로 주문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수수료가 꽤 높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거래 수수료 (지점/콜센터)

거래금액수수료율
2억 원 이하 0.497216%
2억 ~ 5억 원 이하 0.447216% + 10만 원
5억 원 초과 0.397216% + 35만 원
 

📌 예시4 – 3억 원 거래 시 오프라인 수수료
→ 3억 × 0.447216% = 1,341,648원 + 100,000원 = 총 약 1,441,648원

오프라인 거래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을 수 있지만, 수수료 부담이 커서 장기 투자자에겐 비효율적입니다.

예탁금 이용료

2. 예탁금 이용료 및 유관기관 비용 – 자금 잠자게 두면 이자 생길까?

✅ 예탁금 이용료란?

고객이 증권 계좌에 맡긴 예탁금은 증권사가 운용해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이에 따라 일정 조건 하에 이자(이용료)를 지급하거나 부과하기도 합니다.

📌 예시5 – 예탁금 1천만 원을 10일간 방치했을 경우
→ 증권사별 약정금리에 따라 연 0.1%~0.5% 수준의 이자 발생 가능 (단, 조건 있음)

또한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2025년 12월 31일까지 온라인 거래 수수료 무료 혜택이 적용됩니다. 단, 유관기관 비용은 별도 부과됩니다.

✅ 유관기관 제비용 정리

항목비용율
KRX (코스피/코스닥) 0.0036396%
ETF/ETN/ELW 0.0042087%
K-OTC 0.0909187%
 

📌 예시6 – 1천만 원 ETF 매도 시 유관기관 비용
→ 1천만 × 0.0042087% = 약 421원

작아 보이지만, 수백 번 매매하면 누적 영향 큽니다!

특수 수수료

3. 특수 수수료 – 소수단위, 비상장, K-OTC 거래 시 꼭 확인!

✅ K-OTC 수수료

채널수수료
오프라인 0.5%
HTS/MTS/ARS 0.25%
50만 원 미만 0.5% (최저 수수료 적용)
 

📌 예시7 – 400만 원 K-OTC 거래 시 HTS로 주문하면?
→ 400만 × 0.25% = 1만 원

✅ 소수단위 거래 수수료

  • 오프라인: 0.12%
  • 온라인/ARS: 유관기관 제비용만 발생

📌 예시8 – 1주 단위로 주식 구매 시
→ 삼성전자 1주(약 7만 원)를 온라인에서 구매하면, 유관기관 비용 약 2~3원 수준

장기 투자자는 이런 단위 거래를 활용해 분할 매수 전략에 유리하게 활용 가능!

마치며

마무리: ‘몰라서 낸 돈’이 수익률을 갉아먹는다

주식 투자는 단순히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만이 아닙니다.
수수료 구조, 예탁금 이용료, 유관기관 제비용 등은 반드시 사전에 이해하고 접근해야 실질 수익률을 높일 수 있어요.

특히 다음을 기억하세요:

  • 온라인 채널 수수료 < 오프라인 수수료
  • 50만 원 미만 거래엔 최저수수료 적용 → 손실 가능성 ↑
  • 거래금액 커질수록 정액+정률 구간을 잘 선택
  • 연금저축계좌 수수료 면제 혜택은 2025년까지!

앞으로 매매하실 때 이 글을 참고하셔서, 불필요한 수수료는 줄이고 실질 수익률은 높이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

 

※주의사항

이 글은 투자를 유도하거나 강요하는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