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퀀트 H입니다!
주식 계좌 열고 첫 주문을 넣으면, 그 “작은 수수료 한푼”도 왜 이리 크게 와닿을까요?
요즘 QV MTS나 ARS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간편하긴 한데, 수수료 구조가 워낙 복잡하죠.
그래서 오늘은 ‘모바일(QV MTS·ARS)’ 기준 수수료, HTS·홈페이지(온라인) 그리고 오프라인(전화·지점) 기준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어느 채널이 더 합리적인지, 내 거래 스타일에 맞는 채널은 무엇인지, 차근차근 짚어볼게요.

글 순서
1. MTS, ARS(모바일) 수수료
2. 선물·옵션·금·CFD 수수료
3. 온라인·오프라인 거래 수수료
4. 마치며
MTS, ARS(모바일) 수수료
본문 ① | 📱 MTS·ARS 수수료: 실전 예시로 보기
기본 수수료 구조
- QV MTS·ARS(모바일) 수수료율: 0.1971639%
- 거래금액이 200만 원 미만일 경우: 0.1971639% + 500원
✅ 예시 1. 100만 원으로 주식 매수할 경우
- 수수료 = 100만 × 0.001971639 + 500원 = 1,971원 + 500원 = 약 2,471원
- 즉, 100만 원어치 사고팔면 약 5천 원이 수수료로 빠짐
✅ 예시 2. 300만 원 거래 시
- 300만 × 0.001971639 = 약 5,915원
- 200만 원 이상이므로 ‘+500원’ 없음
✅ 예시 3. 30만 원 소액 거래
- 30만 × 0.001971639 = 591원 + 500원 = 1,091원
👉 결론
- 소액일수록 500원 추가 비용이 크게 느껴질 수 있음
- 200만 원 이상 거래라면 상대적으로 합리적 수수료 구조
선물·옵션·금·CFD 수수료
본문 ② | 🧮 선물·옵션·금·CFD 수수료: 예시로 계산해보기
상품수수료율예시 거래금액수수료
선물 (코스피200) | 0.01979740% | 5,000만 원 | 약 9,890원 |
개별주식선물 | 0.0195216% | 2,000만 원 | 약 3,904원 |
금현물 | 0.20% + VAT | 300만 원 | 6,000원 + 부가세 600원 = 6,600원 |
CFD 국내 | 0.15% | 1,000만 원 | 15,000원 |
CFD 해외 | 0.20% | 1,000만 원 | 20,000원 |
✅ 예시: 금현물 300만 원 매수 시
- 수수료 0.2% = 6,000원
- VAT 10% = 600원
- 총합 = 6,600원
✅ 예시: CFD 국내주식 500만 원 매수
- 수수료 = 500만 × 0.0015 = 7,500원
👉 결론
- CFD는 수수료율은 낮지만 거래금액이 크면 누적 비용이 큼
- 금현물은 부가세 포함 구조라 계산 필요
- 야간 선물 거래 시 수수료율이 미세하게 더 높음(주의)
온라인·오프라인 거래 수수료
본문 ③ | 💻 HTS·오프라인 수수료: 직접 비교 예시
✅ 온라인(HTS·홈페이지) 예시
거래금액수수료율고정 수수료총 수수료
100만 원 | 0.1641639% | 800원 | 1,641원 + 800원 = 2,441원 |
300만 원 | 0.1541639% | 1,200원 | 4,624원 + 1,200원 = 5,824원 |
1,000만 원 | 0.1341639% | 1,500원 | 13,416원 + 1,500원 = 14,916원 |
✅ MTS와 비교
- 100만 원 거래 기준
- MTS: 약 2,471원
- HTS: 약 2,441원 → 거의 비슷
- 300만 원 기준
- MTS: 5,915원
- HTS: 5,824원 → HTS가 소폭 유리
- 1,000만 원 기준
- MTS: 19,716원
- HTS: 14,916원 → HTS가 약 5천 원 절약
✅ 오프라인(전화·지점) 예시
거래금액수수료율고정 추가비용총 수수료
1,000만 원 | 0.4972% | 없음 | 49,720원 |
3억 원 | 0.0941639% | 2,500원 (HTS 기준) | 약 282,491원(HTS) |
같은 3억 원 오프라인 시 | 0.4472% + 100,000원 | = 약 1,441,600원 |
👉 결론
- 오프라인 거래는 고액일수록 큰 차이
- 예: 3억 원 거래 시 HTS 대비 100만 원 이상 수수료 차이
-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HTS나 MTS 활용이 훨씬 경제적
마치며
마무리 | 📌 투자자 유형별 추천 채널 + 예시 정리
🎯 1. 하루 10만~300만 원 거래하는 개미 투자자
- 👉 QV MTS 사용 추천
- 예시: 하루 100만 원씩 5회 거래 → 수수료 약 2,471 × 5 = 12,355원
🎯 1,000만 원 이상 거래하는 중급 이상 투자자
- 👉 HTS 사용 추천
- 예시: 1,000만 원 거래 시 HTS 수수료 약 14,916원 vs MTS 19,716원
🎯 5억 원 이상 고액 자산가
- 👉 오프라인 협의 수수료 추천, 또는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 예시: 5억 원 오프라인 수수료 약 2백만 원 vs HTS 약 70만 원 차이
🎯 금·선물·CFD 등 파생상품 이용자
- 👉 QV MTS 전용, 단 만기 청산은 오프라인 수수료 적용 주의
- 예시: CFD 해외 2,000만 원 거래 → 수수료 약 4만 원 수준
※주의사항
이 글은 투자를 유도하거나 강요하는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안타증권]국내주식, 해외주식 거래할 때 수수료는 얼마? 수수료 계산 총정리! (3) | 2025.06.13 |
---|---|
[KB증권]주식 매매 수수료, 구체적인 예시 총정리! (3) | 2025.06.11 |
[한국투자증권]주식·선물옵션 매매 수수료 매매 비교, 예시 총정리! (1) | 2025.06.04 |
[미래에셋증권]주식 매매 수수료 비교, 예시 총정리! (0) | 2025.05.30 |
[삼성증권]주식 거래 수수료, 예탁금 이용료 예시 총정리! (0)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