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 (Return on Asset)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퀀트 H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ROE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오늘 배워볼 ROA를 보기 전에 ROE가 기억이 안 나시는 분들은 복습을 하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의가 비슷하기 때문에 항상 ROE와 ROA는 세트로 언급되는데요.
두 개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순서
1. ROA(Return on Asset)란?
2. ROA(Return on Asset)가 중요한 이유
3. ROA(Return on Asset)활용방법
4. 마치며
ROA(Return on Asset)란?
ROA(Return on Asset: 총자산이익률)
ROA는 Return On Asset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이라고 합니다.
ROA는 기업이 자기자본과 부채를 합한 총자산을 사용하여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 지표입니다.
이익 계산에는 일반적으로 당기순이익이 사용되지만, 경상이익이나 영업이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ROA = 순이익÷ 총자산 × 100
ROA(Return on Asset)가 중요한 이유
ROA가 중요한 이유
ROA는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ROA가 높을수록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ROA는 경영자가 자사의 수익성을 평가할 때나, 투자자가 투자 판단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OA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A사: 총자본 100억원, 당기순이익 5억원
이 때 ROA는 다음과 같습니다.
- A사: ROA = 5억원 ÷ 100억원 × 100 = 5%
분자인 당기순이익은 기업의 1년간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매출에서 원가, 직원 급여 등의 경비, 본업 이외의 수익과 비용, 세금 등을 차감하고 남은 최종적인 이익입니다.
분모인 총자산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대차대조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자산 항목 합계로, 기업이 보유한 모든 자산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ROA 값
일반적인 ROA 값은 업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5%에서 10% 사이의 ROA가 양호한 수익성을 나타낸다고 평가됩니다.
- 5% 미만: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거나, 업종 자체가 자산 투자가 많이 필요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 5% ~ 10%: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적정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 10% 이상: 자산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경영 효율성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업종별 대략적인 ROA
그렇다면 한국의 산업별 ROA(Return on Asset, 총자산이익률)는 어느정도일까요?
업종별 ROA(총자산이익률)는 각 산업의 특성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자산 집약적 산업은 낮은 ROA를 보이는 반면, 상대적으로 자산 투자가 적은 산업은 ROA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업종별 대략적인 ROA 값입니다.
1. 기술 및 IT 업종
- ROA: 10% 이상
- 기술 및 IT 기업은 자산에 대한 투자보다 소프트웨어, 연구개발(R&D) 등이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ROA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제조업
- ROA: 5% ~ 10%
- 제조업은 설비, 공장, 기계 등에 자산 투자가 많이 필요한 자산 집약적인 산업입니다. 그로 인해 평균적인 ROA는 5%에서 10% 사이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금융업
- ROA: 1% ~ 2%
- 금융업은 대출, 예금 등 대규모 자산을 운영하는 특성상 ROA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낮은 ROA라도 수익성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4. 유통 및 소매업
- ROA: 5% ~ 10%
- 재고 관리와 매장 운영 등 자산을 상당히 활용해야 하는 업종이지만, 회전율이 높아 적정 수준의 ROA를 유지합니다.
5. 에너지 및 자원업
- ROA: 3% ~ 5%
- 자산 집약적이고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업종이므로 ROA가 낮습니다. 특히 원유나 가스 같은 자원을 탐사하고 개발하는 기업들은 큰 자본이 필요합니다.
6. 헬스케어 및 제약업
- ROA: 5% ~ 10%
- 연구개발비와 자산 투자가 병행되지만, 신약 개발 성공 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어 ROA가 중간에서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7. 운송업
- ROA: 2% ~ 6%
- 항공, 해운, 물류 같은 운송업은 차량, 항공기, 선박 등 대규모 자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산에 대한 수익성(ROA)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업종에 따라 ROA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각 업종 내에서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OA(Return on Asset)활용방법
ROA(Return on Asset) 계산
ROA는 당기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로 나누어 분석하면, 기업의 경영 상태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A = (순이익 ÷ 매출 × 100 ) × (순이익 ÷ 총자산)
=당기순이익률 × 총자산회전율
당기순이익률은 매출액의 몇 퍼센트가 이익으로 남는지를 나타내며,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1억원의 이익을 낸 두 기업이 있다고 가정할 때,
- (A) 매출 10억원인 기업: 당기순이익률 = 1억원 / 10억원 * 100 = 10%
- (B) 매출 20억원인 기업: 당기순이익률 = 1억원 / 20억원 * 100 = 5%
이 경우, (A)의 수익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총자산회전율은 총자산을 몇 배(몇 회전) 활용하여 매출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며, 경영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2,000억원의 매출을 낸 두 기업이 있다고 가정할 때,
- (C) 자산 1,000억원인 기업: 총자산회전율 = 2,000억원 / 1,000억원 = 2회전
- (D) 자산 2,000억원인 기업: 총자산회전율 = 2,000억원 / 2,000억원 = 1회전
이 경우, (C)의 효율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ROA는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ROA 활용방법
ROA를 통해 기업이 수익성 또는 효율성 중 어느 쪽을 중시하는 경영 전략을 취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A는 당기순이익률(수익성)과 총자산회전율(효율성)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은 위에서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두 기업의 ROA는 동일하게 6%입니다.
- (A) 당기순이익률 6%에 총자산회전율 1회전인 기업: ROA = 6% × 1 = 6%
- (B) 당기순이익률 2%에 총자산회전율 3회전인 기업: ROA = 2% × 3 = 6%
이 두 회사를 비교하면, (A)는 수익성 중시의 경영을, (B)는 효율성 중시의 경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ROA는 기본적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높다고 할 수 있지만, 기업을 더 깊이 이해하려면 다른 지표도 함께 살펴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ROA만으로는 총자산의 구성을 알 수 없습니다. 부채 비율이 높은 경우, 적은 자기자본으로 효율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고 평가될 수 있지만, 차입금이 많아 재무 안정성이 낮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실질적인 상황을 파악하려면 다른 재무 지표들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ROA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ROA는 총자산이라는 개념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입니다.
총자산에는 부채도 포함되기 때문에 단순 ROA로만 기업을 평가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지난 시간에 설명드린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인 ROE와 함께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투자를 강요하거나 요청하는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란 무엇인가요?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하기 (1) | 2024.09.11 |
---|---|
ROE란 무엇인가요?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하기 (4) | 2024.09.09 |
PBR이란 무엇인가요?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하기 (9) | 2024.09.06 |
PER이란 무엇인가요?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하기 (3) | 2024.09.05 |
EPS란 무엇인가요?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하기 (8) | 2024.09.04 |